2024년 5월 20일부터 건강보험 본인 확인 의무화 제도가 시행되었습니다. 병원에서 진료받으려면 신분증을 반드시 지참해야 국민건강보험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 조치는 부정수급과 건강보험 오남용을 줄이기 위해 추진되었다고 합니다.
확인 가능한 신분증 종류
실물 신분증,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모바일 건강보험증, 외국인 등록증, 여권, 국가보훈 등록증, 장애인 등록증, 행정기관 및 공공기관이 발행한 증명서(사진과 주민번호가 있다면 대체 가능)
본인확인 강화 시 어떤점이 좋을까요?
- 정확한 본인확인을 통해 안전한 의료 이용 가능
- 건강보험 무자격자의 부정수급을 차단하여 건강보험 재정 누수 방지
※ 신분증 미지참 시, 진료비는 환자 전액 본인 부담입니다.
-14일 이내 신분증과 진료비 영수증을 지참하여 방문하시면 건강보험 적용된 금액으로 재정산이 가능합니다.
모바일 건강보험증 발급 방법
1. play 스토어 또는 app 스토어에서 모바일 건강보험증을 검색해 주세요.
2. 개인입니까 탭을 선택해 주세요.
3. 서비스 이용 정보 수집, 약관 동의 및 본인 핸드폰 인증을 해주세요.
4. 본인확인 하기를 클릭하신 후 본인 절차를 진행하면 마무리됩니다.
모든 경우에 신분증을 확인하나요?
19세 미만 환자, 응급 환자, 동일한 병/의원에서 본인 확인을 한 날로부터 6개월 이내 재진시에는 신분증을 제시하지 않아도 됩니다. 의사의 처방전에 따라 약을 지급하는 약국도 제외됩니다.
신분증을 확인하지 않았을 때 벌금은?
1차 위반 시 30만 원, 2차 위반 시 60만 원, 3차 위반 시 100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반응형
'정부지원 ·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 경기도 청년 복지포인트 신청 및 자격요건 총정리 (39) | 2024.05.24 |
---|---|
청년월세 특별지원 신청기간 소득 조건 서류 (2) | 2024.05.24 |
2024 근로장려금 신청 조건 지급일 금액 (1) | 2024.05.21 |
K-패스 교통카드 신청방법 및 혜택, 알뜰교통카드 전환 (1) | 2024.05.17 |
2024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 가입 조건, 지원금 (0) | 2024.05.14 |